유튜브를 하는 사람들이 가장 궁금한 내용이 아닐까 싶습니다.
바로 "알고리즘"인데요.
많은 유튜버들이 “왜 내 영상은 조회수가 안 오를까?”라는 질문을 합니다.
답은 간단합니다. 유튜브 알고리즘을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누구도 유튜브의 알고리즘을 정확히 아는 사람은 없습니다. 다만 이것만을 지켜주세요.
유튜브 제작을 아무리 열심히 해도, 유튜브 올리는 방법이 알고리즘의 방향과 맞지 않으면 영상은 묻힙니다.
그래서 이 글은 유튜브의 창시자이자 프로그램머인 제가 직접 유튜브 알고리즘의 작동 원리를 풀어내고,
조회수를 높이는 유튜브 제목, 유튜브 해시태그, 유튜브 제작 전략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려 합니다.
유튜브 알고리즘의 핵심 원리
유튜브 알고리즘은 단 하나의 목표를 갖습니다.
“사용자가 최대한 오래 유튜브에 머물게 만드는 것.”
이를 위해 알고리즘은 아래 네 가지 지표를 분석합니다.
CTR (클릭률) | 유튜브 제목과 썸네일의 매력도 | 30% |
시청 유지율 | 영상을 얼마나 오래 봤는가 | 40% |
참여도 | 좋아요, 댓글, 공유, 구독 등 | 20% |
업로드 주기 | 꾸준한 유튜브 제작 패턴 | 10% |
💡 예: CTR 5% → 10%로 올리면, 노출이 2~3배 증가할 수 있습니다.
썸네일 문구와 유튜브 제목의 첫 5단어가 가장 중요합니다.
유튜브 알고리즘의 기본 원칙 & 추천 시스템 개요
유튜브는 단순히 인기 영상만 밀어주는 게 아니라, 사용자 개개인에게 최적화된 콘텐츠를 추천하는 시스템을 운영해.
공식적으로 유튜브는 “Recommendation System”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고 싶어 할 만한 영상’을 제시한다는 원칙을 내세우고 있다.
추천 시스템은 두 주요 지점에서 작동해:
- 홈 화면 / 피드 추천
- “다음 영상(Up Next)” 또는 ‘추천 영상’ 목록
또, 알고리즘은 단순히 클릭이나 조회수만 보는 게 아니라, 장기적 사용자 만족도, 품질 및 신뢰성, 정책 위반 여부 같은 요소까지 감안하는 층위를 갖고 있습니다.
유튜브 공식 가이드라인 / 정책 계층
추천 알고리즘에 직접적으로 명시된 룰보다는, 영상이 추천될 자격이 있는지 판별하는 “정책/가이드라인” 계층이 중요해. 몇 가지 핵심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커뮤니티 가이드라인 | 스팸, 사기, 허위정보, 폭력, 증오발언 등 위반 콘텐츠는 추천 대상에서 제외되거나 노출이 제한됨 | |
광고 친화성(advertiser-friendly) 가이드라인 | 특정 언어, 폭력, 성적 묘사 등은 수익화나 추천 노출에 제약을 받음 | |
민감 콘텐츠 / 경계 콘텐츠(Borderline Content) | 명백한 위반은 아니지만 허위 가능성 / 선정성 / 자극성 등이 있는 콘텐츠는 추천 노출 우선순위를 낮춘다 | |
저품질 / 중복 콘텐츠 | 동일하거나 유사한 콘텐츠, 자동화 생성 콘텐츠, 중복 업로드 등은 노출이 제한됨 | |
아동 관련 정책 / “Made for Kids” 설정 | 아동용 콘텐츠 구분, 아동 보호 규정, 아동 대상 콘텐츠의 노출 제약 등이 적용됨 |
이런 정책 위반 가능성이 있는 영상은 추천 시스템의 상위 레이어에서 배제 또는 감점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알고리즘의 주요 신호(signals) & 스코어링 요소
유튜브 추천 시스템은 여러 신호를 받아서 각 영상에 점수를 매기고, 점수가 높은 콘텐츠를 노출 순위에 배치해. 주요 신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클릭률(CTR, Click-Through Rate): 썸네일 + 제목이 얼마나 유도력이 있는지
- 시청 유지율 / 시청 시간 (Watch Time, Retention): 영상을 끝까지 또는 일정 비율 이상 본 비중
- 사용자 반응 (Engagement): 좋아요, 댓글, 공유, 구독 전환
- 초기 반응 속도(초기 유입 트래픽): 업로드 직후의 시청/행동 흐름
- 사용자 맞춤도 / 피드백 히스토리: 사용자가 이전에 본 영상, 관심사 이력
- 메타데이터 적합성: 제목, 설명, 태그, 해시태그 등이 영상 내용과 얼마나 일치하는가
- 콘텐츠 품질 / 신뢰성 스코어: 저품질 또는 경계 콘텐츠면 페널티
- 업로드 빈도 / 채널 일관성: 꾸준한 영상 공급이 유리
예를 들어, 영상 A와 B가 동일한 조회수를 가져도, 영상 A가 유지율이 높고 댓글과 공유 비율이 높다면 알고리즘은 영상 A를 더 추천하는 시스템입니다.
형식별 알고리즘 차이: 일반 영상 vs Shorts
짧은 영상(Shorts)과 일반 영상(Long-form)은 알고리즘 평가 기준이 조금 다릅니다.
- Shorts는 스와이프 기반 소비, 즉시 주목도 / 지속시간 중심으로 평가됨
- 일반 영상은 좀 더 긴 시청 유지율, 컨텍스트 적합성, 참여 등이 중요
- 동일한 채널이라도 Shorts와 일반 영상은 서로 다른 내부 랭킹 체계를 가질 수 있어
실무 가이드: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면서 알고리즘에 잘 작동하게 만드는 방법
- 정책 위반 소지 최소화
→ 선정적/폭력적/허위정보/스팸성 요소 제거
→ 아동 콘텐츠는 “Made for Kids” 설정 고려 - 메타데이터 정합성 유지
→ 제목, 설명, 태그, 해시태그 모두 영상 내용과 일치
→ 키워드 과잉 삽입(spam) 하지 않기 — 스팸 정책 위반 소지 있음 - 초기 반응을 최대화하기
→ 영상 공개 직후 시청자 유입 전략 사용
→ 커뮤니티 / SNS / 알림 활용 - 시청 유지율 개선
→ 처음 10~30초 집중 설계
→ 중간 이탈 구간 줄이기
→ 클립 전환 리듬 조절 - 참여 유도 장치 배치
→ 중간 / 말미에 댓글 유도 질문
→ 공유 / 좋아요 요청 (과도하면 오히려 반감) - 형식 다양화 / Shorts 활용
→ 채널 내에서 Shorts + 일반 영상 병행
→ Shorts를 구독자 유입 채널로 활용 - 일관된 업로드 주기 유지
→ 알고리즘은 ‘예측 가능한 패턴’을 긍정적으로 본다
→ 무작위 간헐 업로드보다는 일정 주기 - 과거 영상 재활용 / 리메이크 / 리패키징
→ 승률 높은 과거 영상을 리패키징하여 다시 노출 가능성 확보
유튜브 제작 단계별 최적화 전략
- 기획 단계 (준비단계)
- 트렌드 키워드를 중심으로 콘텐츠 기획
- “검색형 콘텐츠”와 “추천형 콘텐츠”를 구분
- 예: “2025 유튜브 알고리즘 변화”는 검색형 콘텐츠
- 촬영 단계 (영상준비)
- 10초 안에 강력한 메시지 전달
- 자연스러운 표정, 시선 처리, 자막 리듬감 유지
- 편집 단계(영상의 재미와 붙잡을 수 있는 마력)
- 리듬감 있는 컷 편집 + 음악 볼륨 일정
- 댓글을 유도하는 문구 삽입 (“당신의 의견은?” 등)
- 업로드 단계 (유튜브 올리는 방법)
- 파일명에도 키워드 포함 (예: “youtube_algorithm_tips.mp4”)
- 설명란에 유튜브 알고리즘, 유튜브 제작, 유튜브 올리는 방법 최소 3회 이상 포함
- 해시태그와 설명글에 영상의 PlayList 를 적시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유튜브 제목 & 유튜브 해시태그 설정
- 제목: “유튜브 알고리즘이 좋아하는 영상 업로드 비밀 5가지” - 첫 단어가 중요
- 해시태그: #유튜브제작 #유튜브올리는방법 #유튜브제목 #유튜브해시태그 #유튜브알고리즘
유튜버들이 자주 묻는 질문 (Q&A)
Q1. 유튜브 알고리즘은 몇 시간 후에 반응하나요?
A. 일반적으로 업로드 후 24시간 내 초기 데이터(CTR, 유지율)에 따라 노출 여부가 결정됩니다.
Q2. 유튜브 제목은 어떻게 써야 하나요?
A. 클릭을 유도하는 감정형 문장 + 숫자 조합이 좋습니다.
예: “3일 만에 1만 조회 달성! 유튜브 알고리즘이 좋아하는 포인트 공개”
Q3. 유튜브 해시태그는 몇 개가 적당한가요?
A. 3~5개가 이상적입니다. 너무 많으면 스팸으로 인식될 수 있습니다.
Q4. 유튜브 올리는 방법 중 가장 중요한 건 뭔가요?
A. 썸네일 클릭률(CTR)입니다. 영상 내용보다 썸네일과 제목이 초기 노출을 좌우합니다.
Q5. 유튜브 제작 일정은 얼마나 자주 해야 하나요?
A. 최소 주 1회. 알고리즘은 ‘꾸준함’을 신뢰도 신호로 인식합니다.
Youtube 알고리즘 : https://support.google.com/youtube/answer/9232687?hl=ko
알고리즘을 이해하는 유튜버가 성공한다
결국 유튜브 알고리즘은 “사람의 관심”을 수치화한 기술입니다.
좋은 영상 하나보다, 꾸준히 올리는 영상 10개가 더 큰 효과를 냅니다.
유튜브 제작을 체계적으로 하고, 유튜브 올리는 방법, 유튜브 제목, 유튜브 해시태그를 전략적으로 구성한다면
누구든 알고리즘의 파도를 탈 수 있습니다.
유튜브는 수학이 아닙니다. 사람의 반응을 읽는 심리의 알고리즘입니다.
이 글이 읽으시고 도움이 되고 님의 채널 성장에 실제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BUGAF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로 만든 카페음악 (No CopyRight), 하루종일 POP, K-POP (5) | 2025.10.10 |
---|---|
AI로 만든 유튜브 영상2 [초보자도 가능, 돈 버는 유튜브영상제작] (6) | 2025.10.05 |
작사/작곡을 현실로! Suno AI 꿀팁 대방출: 상업적 이용 저작권 A to Z (5) | 2025.10.03 |
명절 연휴 초보 탈출! D-day 체크리스트, 3가지 정보 없인 후회! (준비/교통/응급, 완벽 정리) (15) | 2025.10.02 |
[긴급] 절대 업데이트 금지! 🚨 타 SNS처럼 변한 카카오톡 개편, 카톡 구버전 되돌리기 최후의 방법은? (2) | 2025.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