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미나이를 잘 활용하여 유튜브 콘텐츠를 만들고, 한국의 김수현 작가님처럼 글을 잘 쓰는 방법을 설정하고 싶습니다.
제미나이의 성능을 최대한 끌어올리고, 원하는 방향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자세히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제미나이를 잘 사용하는 기본 원칙
제미나이를 비롯한 모든 대형 언어 모델(LLM)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라는 기술을 통해 원하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 AI에게 정확하고 구체적인 지시를 내리는 것이 핵심입니다.
- 구체적으로 요청하기: '글을 잘 써줘' 보다는 '10대 청소년을 위한 유튜브 쇼츠 대본을 500자 이내로 써줘. 내용은 최신 유행하는 챌린지 댄스를 따라 하는 법에 대한 유머러스한 설명이어야 해.' 와 같이 구체적인 맥락과 형식을 제시해야 합니다.
- 역할 부여하기: AI에게 특정한 역할을 부여하면 그 역할에 맞춰 답변을 생성합니다. 예를 들어, '너는 지금부터 유튜브 크리에이터야.' 또는 '너는 지금부터 소설가 김수현이야.'와 같이 역할을 설정합니다.
- 예시 제공하기(Few-shot Prompting): AI가 원하는 결과물의 예시를 몇 개 보여주면 훨씬 더 정확하게 의도를 파악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스타일로 글을 써줘. [예시1], [예시2]'와 같이 예시를 함께 제공하는 것입니다.
- 맥락 제공하기: 배경 정보나 상황을 충분히 설명해 주면 AI가 더 풍부하고 깊이 있는 답변을 생성합니다. '지금 나는 유튜브 채널을 시작하려는 초보 크리에이터야. 어떤 주제로 시작하면 좋을지 아이디어를 내줘.'와 같이 현재 상황을 설명해 주세요.
2. 김수현 작가님 스타일 설정 방법
김수현 작가님은 인물의 섬세한 감정선, 간결하면서도 힘 있는 대사, 그리고 현실적인 삶의 단면을 깊이 있게 묘사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러한 스타일을 제미나이에 적용하려면 다음과 같은 프롬프트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단계 1: 역할 설정 및 스타일 정의
먼저, 제미나이에게 '김수현 작가'라는 역할을 부여하고 그 스타일의 핵심 특징을 정의해 줍니다.
"너는 지금부터 한국 드라마의 전설적인 작가, 김수현이야. 너는 인물의 내면 심리를 섬세하게 파고들고, 현실적이면서도 가슴을 울리는 간결한 대사를 쓰는 것이 특징이야. 글의 전체적인 분위기는 담담하지만 깊은 여운을 남겨야 해."
단계 2: 구체적인 주제 및 상황 제시
이제 구체적인 상황을 제시하며 작가를 위한 배경 지식을 제공합니다. 유튜브 콘텐츠에 적용할 것이므로, 유튜브에 맞는 형식을 언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는 '일상 속 작은 발견'이라는 주제로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의 영상 대본을 만들고 싶어. 이번 영상의 제목은 '평범한 하루, 그 안의 특별함'이야. 주인공은 30대 직장인 여성 '지은'이고, 남자친구와 3년째 연애 중이야. 지은은 오늘 아침 남자친구와 사소한 말다툼을 했어. 이 상황을 김수현 작가 특유의 담담한 독백과 대사로 풀어내줘. 영상 길이는 5분 내외로 구성해 줘."
단계 3: 원하는 형식 추가
유튜브 대본이므로, 영상의 흐름을 고려한 형식을 추가로 요청합니다.
"대본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작성해 줘: [씬 #1: 아침, 출근길] [지은의 독백] [남자친구와의 통화 대사] 이런 식으로 장면 설명과 함께 대사 및 독백을 구분해서 써줘."
이 세 단계를 합치면 다음과 같은 완성된 프롬프트가 됩니다.
[최종 프롬프트 예시]
"너는 지금부터 한국 드라마의 전설적인 작가, 김수현이야. 너는 인물의 내면 심리를 섬세하게 파고들고, 현실적이면서도 가슴을 울리는 간결한 대사를 쓰는 것이 특징이야. 글의 전체적인 분위기는 담담하지만 깊은 여운을 남겨야 해. 이 역할에 맞춰서 다음 요청을 수행해 줘.
나는 '일상 속 작은 발견'이라는 주제의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어. 이번 영상의 제목은 '평범한 하루, 그 안의 특별함'이고, 영상 길이는 5분 내외야. 주인공은 30대 직장인 여성 '지은'으로, 3년째 연애 중인 남자친구와 오늘 아침 사소한 말다툼을 했어. 이 상황을 김수현 작가 특유의 담담한 독백과 대사로 풀어내줘. 대본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작성해 줘: [씬 #1: 아침, 출근길] [지은의 독백] [남자친구와의 통화 대사] 이런 식으로 장면 설명과 대사, 독백을 구분해서 써줘."
제미나이는 한국어보다는 영어로 프롬프트를 만들어서 사용하면 더 좋은 결과물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3. 제미나이 설정 시 유의할 점 (마음가짐)
- 반복적인 수정: 처음부터 완벽한 결과가 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AI가 생성한 결과물을 보고 '이 부분은 이렇게 고쳐줘', '대사를 좀 더 짧게 해줘'와 같이 계속해서 피드백을 주며 다듬어야 합니다. 이는 마치 실제 작가와 편집자가 협업하는 과정과 같습니다.
- 결합된 창의성: AI는 도구일 뿐입니다. 김수현 작가님처럼 글을 쓴다는 것은 '그분처럼' 글을 쓰는 것이지 '그분'이 되는 것이 아닙니다. AI가 생성한 결과물에 자신의 생각과 창의성을 더해 진정한 '나만의 작품'을 만들어야 합니다.
- 다양한 시도: 위 예시는 하나의 틀일 뿐입니다. '김수현 작가'뿐만 아니라 '봉준호 감독처럼', '이병헌 감독처럼' 등 다양한 작가, 감독의 스타일을 실험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제미나이(AI)는 매우 유연하고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러한 설정과 활용법을 통해 유튜브 콘텐츠 제작에 큰 도움을 얻으실 수 있을 겁니다.
성공적인 인공지능 이용방법은 이것만을 잊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프롬프트 : 인물-상황-목적-방법
위의 내용을 잊지 않고 AI(ChatGPT, Gemini. Copilot, bing, Perplexity,.....) 사용하시면 좋은 결과물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BUGAF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고등기의 모든것 (4) | 2025.09.16 |
---|---|
"이거하면 돈 번다" 영상, 우리는 왜 현혹될까? (10) | 2025.07.19 |
AI와 모션 그래픽(Motion Graphics) 그리고 미래 (92) | 2025.03.13 |
차등 전기료 시대, 전기요금 폭탄 피하는 법 (56) | 2025.03.12 |
내가 꼭 배워야할 엑셀함수 정리 : 나도 이제 엑셀 전문가 (16) | 2025.03.01 |